Yang 코딩 공부

클린 코드 - 함수 본문

Coding Study/Clean Code

클린 코드 - 함수

코딩하는 Yang 2022. 12. 30. 09:53

1.함수의 역할은 하나만 할 수 있도록 하자 (SRP)

함수의 역할이 많아지면 오류가 날 가능성이 커지고 가독성이 떨어진다.
또한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나는지 파악하기 힘들어지고 함수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함수는 하나의 역할만 하게 하는게 좋다.

# as-is
def create_user(email, password):
    # validation 로직
    if "@" not in email or len(password) < 6 :
        raise Exception("유저 정보를 제대로 입력하세요")

    #유저 정보 생성을 위한 유저 객체 생성
    user = {"email" : email, "password" : password}

    # 데이터베이스에 유저 추가하는 기능
    database = Database("mysql")
    database.add(user)

    # 회원가입 성공하여 유저에게 메일을 보내는 기능
    email_client = EmailClient()
    email_client.set_config(...)
    email_client.send(email, "회원가입을 축하합니다")

    return True

# to-be
def create_user(email, password):
    validate_create_user(email, password)

    user = build_user(email, password)

    save_user(user)
    send_email(email)
    return

def validate_create_user(email, password):
    if "@" not in email or len(password) < 6 :
        raise Exception("유저 정보를 제대로 입력하세요")

def build_user(email, password):
    return {
        "email": email,
        "password": password
    }

def save_user(user):
    database = Database("mysql")
    database.add(user)

def send_email(email):
    email_client = EmailClient()
    email_client.set_config(...)
    email_client.send(email, "회원가입을 축하합니다")

2.반복하지 말자 (DRY)

관심사를 잘 분리하고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반복되는 코드를 하나의 함수로 만들어 사용하자.

ex) 검증하는 코드 등

# as-is
# 코드바 바뀔시 각 함수별로 다 수정해야함.
def create_user(email, password):
    # validation 로직
    if "@" not in email or len(password) < 6 :
        raise Exception("유저 정보를 제대로 입력하세요")

    ...

def update_user(email, password):
    # validation 로직
    if "@" not in email or len(password) < 6 :
        raise Exception("유저 정보를 제대로 입력하세요")
        
# to-be
# 검증하는 코드를 함수로 작성하여 해당 함수만 수정하면 되게 변경
def validate_create_user(email, password):
    if "@" not in email or len(password) < 6 :
        raise Exception("유저 정보를 제대로 입력하세요")

def create_user(email, password):
    validate_create_user(email, password)
    ...

def update_user(email, password):
    validate_create_user(email, password)
    ...

 

3.파라미터(매개변수) 수는 적게 유지하자

#as-is
def save_user(user_name, email, password, created_at):
    ...

#to-be
#객체를 받아와 해당 객체를 이용할 수 있게
def save_user(user:User):
    ...

 

4.사이드 이펙트를 잘 핸들링 하자.

: 사이드 이펙트란 함수가 실행됐을 때 함수 이외의 어떤 것들에 변화를 주는 것을 뜻합니다.

사이드 이펙트를 잘 다루지 못하면 예측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ex) DB내용 변경으로 선 후 결과가 꼬인 경우

#사이드 이펙트가 없습니다.
def get_user_instance(email, password):
    user = User(email, password)
    return user
	
#사이드 이펙트가 있습니다
def update_user_instance(user): 
    user.email = "new email" #인자로 받은 user 객체를 업데이트합니다.
    ...

#사이드 이펙트가 있습니다
def create_user(email, password):
    user = User(email, password)
    start_db_session() #외부의 DB Session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
  • 핸들링 하는 방법
    • 코드를 통해 충분히 예측할 수 있도록 네이밍에 주의할 것. 
      • update, set 같은 직관적인 prefix를 붙여서 사이트 이펙트가 있을 수 있음을 암시
    • 함수의 사이드 이펙트가 잇는 부분과 없는 부분을 나눠 관리 할 것
      • 명령(side effect O)과 조회(side effect X)를 분리하는 CORS 방식이 있다.
    • 일반적으로 update를 남발하기 보단 순수 함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직관적이고 에러를 방지 할 수 있다
# as-is
carts = []

#사이드 이펙트를 발생시킴
def add_cart(product):
    carts.append(product)

product = Product(...)
add_cart(product)

#add_cart함수가 작동중에 carts 리스트를 불러올 경우 사이드 이펙트 발생

# to-be
carts = []

#사이드 이펙트가 없는 순수함수
def get_added_cart(product):
    return [...carts, prodcut]

product = Product(...)
carts = get_added_cart(product)

 

'Coding Study > Clean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린 코드 - 주석, 포맷팅  (0) 2022.12.30
클린 코드 - 네이밍  (0)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