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queryset filter
- django
- Djnago CSRF
- is_ajax() not working
- CleanCode
- 효울적
- HTTP
- 트리란
- Django Ajax
- queryset
- 클린코드
- django 시작하기
- 버블 정렬
- 포맷팅
- request.path
- Proxy_pass
- 클린코드-함수
- 알고리즘
- 정렬
- 선택 정렬
- 클린 코드
- nginx
- request.GET
- Trre heap
- 글자 수
- check ajax
- 복수 외래키
- 자료구조
- render html
- reCAPTCHA V2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7)
Yang 코딩 공부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만들어져 있으며, 첫번째 자리는 1에서 5까지 제공됩니다. 첫번째 자리가 4와 5인 경우는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사이트 관리자가 즉시 알아야 하는 정보입니다. 1xx(정보) :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합니다. 2xx(성공)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하였습니다. 3xx(리다이렉션) :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합니다. 4xx(클라이언트 오류) :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5xx(서버 오류) :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한 충족을 실패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훨씬 많지만 크게 앞자리에 따라 상황이 나뉘기에 앞자리 5가지를 기억하자
GET 특정 리소스를 받기 위한 요청으로 리소시의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POST POST 메서드는 특정 리소스에 엔티티를 제출할 때 쓰입니다. 이는 종종 서버의 상태의 변화나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POST 메서드로 전송시 CSRF-token을 포함하여 전송) PUT 변경 가능한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되며 항상 식별 정보를 포함해야한다. PATCH 변경 가능한 리소스의 부분 업데이트에 사용되며 항상 식별 정보를 포함해야한다. DELETE 특정 리소스를 삭제하는 데 사용한다. -> 일반저긍로 Request body가 아닌 URI 경로에 제거하로는 리소스의 id를 전달 HEAD 클라이언트가 본문 없이 리소스에 대한 헹더만 검색하는 경우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 정점 (node)과 간선(edge) 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배치 형태를 추상화한 자료구조 노드는 루트노드, 내부노드, 리프노드 로 나뉜다 루트노드 : 가장 최상위에 위치한 노드 내부노드(Internal) : 루트도 리프도 아닌 노드 (중간 노드 들) 리프노드 : 더 이상 하위 노드가 없는 최하위 노드 노드들 사이에는 부모노드와 자식 노드가 존재하고 더 선택한 노드를 기준으로 더 상위에 가까운 노드를 부모(Parent)노드 더 하위에 가까운 노드를 자식(Child) 노드라고한다 (루트 노드는 자식노드만 리프노드는 부모 노드만 존재한다) 형제노드 : 같은 부모 아래 존재하는 노드를 형제(sibling) 노드라고 부른다 조상(ancestor) 노드 : 부모의 부모(의 부모의 ...) 후손(descendant..
Convention 코딩을 하면서 이름을 지을 때 대표적인 컨벤션으로 snake_case : Python, Ruby 등에서 권장 (띄어쓰기를 _로 붙여줌 camelCase : Java, Javascript 등에서 권장 PascalCase :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클래스를 네이밍 할 때 사용 kebab-case : HTML Element를 표현할 때 사용 변수와 상수 일반적으로 변수와 상수를 네이밍할 때는 명사 혹은 형용사 구문 형태로 짓습니다. user_data = ... # 명사 is_valid = ... # 형용사 함수와 메서드 일반적으로 함수와 매서드를 네이밍할 때는 동사 혹은 형용사 구문 형태로 짓습니다. def send_data(): ... def input_is_valid(): ... ..
Git에는 크게 4가지 작업 공간이 있다. workspace - 우리가 작업하는 일반적인 공간. git을 쓰기 이전에 처음 상태. - git add 명렁어 이전에는 변경 사항들은 workspace에 기록 index - 변경되는 모든 파일 및 폴더들을 추적하는 공간. staging Area 라고도 이야기한다. - git add 명령어로 workspace 공간에 있는 작업물을 이 공간으로 보낼 수 있다. - 한 번 index 에 올라간 파일들은 git에서 계속 추적한다 local repository - 최종적으로 커밋된 작업물들이 놓이게 되는 공간 - git commit 명령어로 index에 있는 파일들을 이 공간으로 보낸다. remote repositroy - Git 호스팅 공간으로 인터넷으로 연결된 별도..

위처럼 작업하게 되면 해당 외래키묶음이 같은 경우는 단 하나만 존재할 수 있게된다.

form에서 Submit 후 다시 돌아오고 싶은 페이지가 있을 경우 해당 이미지 처럼 form있는 페이지로 이동할 때 파라미터에 next값에 줄 경우 submit 후 정상적으로 완료 되었다면 해당 이동 전페이지로 돌아올 수 있다.